YTN은 지난해 12월, 탐사보도를 통해 3D프린터의 유해성 문제를 고발했습니다.
이후 정부는 개선책을 내놓고도 실행에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데요,
결국, 전국 초·중·고등학교 교사 수천 명이 나서 3D프린터와 암의 연관성부터 인정하라고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김지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3D프린팅 수업에 그 누구보다 열정적이었던 교사들.
세 명은 발병률 0.01%의 희귀암에 걸렸고, 네 명은 급성 암과 자율신경계 이상 등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김형렬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센터 : (육종암은) 암 중에서도 굉장히 드물게 발생하는 암이거든요. 현재 건강에 문제가 있는지 실태조사를 할 필요가 있고요.]
육종암에 걸린 교사 세 명 측은 지난해 1월, 공무상 재해를 인정해달라며 정부에 신청서를 냈습니다.
3명 중 2명이 같은 학교에서 3D프린터를 다뤘던 만큼, 3D프린터와 암의 연관성이 크다고 본 겁니다.
하지만 1년 넘도록 깜깜무소식.
결국 유족과 시민단체, 교원단체가 주무 부처인 인사혁신처를 찾아가 재해 인정에 속도를 내라고 촉구했습니다.
[현재순 / 직업성 암 119 기획국장 : 재해를 빠르게 인정하는 것도 중요하고 재해보상 처리 기관으로서 전국에 있는 교사들에 대한 실태조사도….]
전국 초·중·고등학교 교사 5천 2백여 명의 재해 인정 촉구 탄원서도 전달했습니다.
전교조는 3D프린터의 유해성을 심층적으로 다룬 YTN 보도 이후 서명운동을 벌여왔습니다.
[황유리 / 전국 교직원 노동조합 부위원장 : 탄원 서명에 함께한 5,275명의 선생님들과 함께 다시 한번 강력히 요구합니다. 인사혁신처는 지금 당장 3D프린터 교사 육종암을 공무상 재해로 인정하라!]
탄원서를 받아 든 인사혁신처는 이렇다 할 답변을 내놓지 못했습니다.
향후 계획을 물은 YTN 취재진의 질문에 3D프린터와 암의 상관관계를 계속 분석하고 있다며 결론을 내기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 같다고 답했습니다.
YTN 보도 이후 급히 여러 대책을 내놨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도 여전히 미온적인 분위기입니다.
교사와 학생들에 대한 실태조사 촉구가 이어지자, 방안을 고심하고는 있지만 구체화한 건 없습니다.
[교육부 관계자 :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선 명확히 나온 건 없긴 합니다만, (교사와 학생들의) 이용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앱 ... (중략)
YTN 김지환 (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20209080653628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