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라이더] 환율 치솟고 주가 떨어지고...커지는 'R의 공포' / YTN

YTN news 2022-07-07

Views 7

■ 진행 : 안보라 앵커
■ 출연 : 홍기빈 /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 분을 만나면 경제 공부도 재밌고반갑긴 반가운데, 한숨이 많이 납니다. 목요일의 남자,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장 모시고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경제가 좋을 때 공부하는 건 참 즐거운데 어려울 때 공부하니까 마음이 힘듭니다.
환율 얘기부터 해보겠습니다. 환율이 1306원을 넘기고 어제 마감이 됐어요. 그런데 제가 조금 전에도 브리핑을 했는데 장중 한때 1311원. 이게 외환위기 이후에 최고점 찍은 것 아닙니까?

[홍기빈]
그렇죠. 제 기억에도 그렇습니다.


최고점 찍은 게 얼마였었죠?

[홍기빈]
IMF 때 1700원 이렇게 된 적이 있었던 기억이 나요.


맞아요. 이거 환율 이렇게 오르면 우리 경제에 너무 심각한 타격이 오는 것 아닙니까?

[홍기빈]
모든 나라에 문제가 되지만 우리나라는 자본수지, 경상수지 둘 다 대외 의존도가 굉장히 크거든요. 그래서 환율의 변화가 경상수지라고 하는 건 재화와 서비스의 흐름이고 자본수지라고 하는 건 자금의 흐름을 얘기를 하는데 두 부분이 크게 열려있는 나라예요. 그렇기 때문에 환율이 변하게 되면 가격 조건이 변하니까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나라라고 할 수가 있죠.


우리나라 산업 중에서 환율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업종이나 직종은 어디입니까?

[홍기빈]
말할 것도 없이 수출 부분이요. 수출 부분이고요. 지금은 환율 변화에서 민감할 만한 사람들이 국민들 전체인데요. 수입물가 인상 때문에 그렇습니다.


저희 수입 과일도 그렇고 아기들 과자도 그렇고 수입제품 많이 먹잖아요.

[홍기빈]
그렇죠. 분유도 그렇고요. 그러니까 물가 전반의 상승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지금 환율 상승에 대해서 많이 걱정하는 부분입니다.


그러면 환율이 혹시 전망을 여쭙는 게 조심스러운데 이게 1320원까지는 열려 있다. 1400원도 뚫을 수 있다, 이런 얘기도 있더라고요. 어디까지 오를까 궁금합니다.

[홍기빈]
이럴 때는 항상 말이 씨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저 개인이 말하는 게 얼마나 영향력이 있겠습니다마는 물론 조심스럽습니다마는 환율은 계속 당분간 좀 더 오를 거라고 봐야 됩...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20707085023715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Share This Video


Download

  
Report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