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정치권 통해 ’자이언트 스텝’ 용어 확산
온라인에서 "미국에서 안 쓰는 한국산 용어" 지적
美 중앙은행·경제 일간지, 해당 용어 사용 안 해
뉴욕연방은행 총재, ’대폭’ 의미로 ’빅스텝’ 언급
"조어, 때때로 효율적이지만 여파 고려해야"
미국 중앙은행이 큰 폭의 금리 인상 정책을 이어가면서 이를 일컫는 '자이언트 스텝'이나 '울트라 스텝' 같은 단어들이 일상적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최근엔 '점보 스텝'이란 표현까지 등장했는데요,
이 용어들이 미국에선 쓰이지 않는 한국산 용어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맞는 말인지, 박희재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류성걸 / 국민의힘 민생특위 위원장(지난 6월) : (미국 연준이) 금리를 0.75%p 상승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습니다.]
[박홍근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지난 7월) : 이달 말에는 1%p의 금리 인상, 즉 '울트라 스텝'을 결정할 것이라는….]
언론과 정치권을 중심으로 쓰이다 이제는 상식처럼 굳어진 단어, 자이언트 스텝.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기준금리 인상 정책을 일컫는데,
인상 폭이 0.5%p일 땐 '빅 스텝', 0.75%p일 땐 '자이언트 스텝', 1%p일 땐 '울트라 스텝'이라고 표현합니다.
최근 온라인을 중심으로 이 단어들이 한국식 영어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당사국인 미국에서조차 쓰이지 않는 단어를 국내 언론이 만들어낸 것 아니냐는 지적입니다.
'자이언트 스텝'이 미 기준금리 0.75%p 인상을 뜻하는 용어로 국내 언론에 처음 등장한 건 지난 4월입니다.
1%p 금리 인상을 일컫는 '울트라 스텝' 역시 지난 6월 국내 언론에서 처음 쓰였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의 공식 브리핑과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에서는 해당 표현들을 찾아볼 수 없었고,
미국의 유력 경제 일간지들도 사용한 적이 없습니다.
미 연준 의장이 최근 금리 인상 폭을 두고 '대단히 크다(unusually large)'라고 언급한 경우는 있었지만,
거대하다거나 극단적이라는 뜻의 '자이언트'나, '울트라'와는 엄연히 차이가 있습니다.
또, 존 윌리엄스 뉴욕연방은행 총재가 지난 2월, 금리 인상과 관련해 '빅 스텝'이란 표현을 쓴 경우가 있긴 하지만,
큰 폭이라는 의미였을 뿐, 0.5%p라는 구체적인 인상 폭을 얘기한 건 아니었습니다.
'자이언트 스텝'이나 '울트라 스텝' 같은 단어는 콩글리시이거나 한국산 ... (중략)
YTN 박희재 (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20917053833322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