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이광연 앵커, 박석원 앵커
■ 출연 : 조태현 경제부 기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큐]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올해 경제 전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건 역시 기준금리였습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주식과 부동산 등 자산시장도 휘청였는데요. 내년엔 어떤 흐름을 보이게 될까요? 경제부 조태현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우리가 매주 금요일 했던 얘기를 오늘은 압축해서 하는 셈이 됐는데 아무래도 금리 얘기부터 하겠습니다.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전 세계가 기준금리를 빠른 속도로 올렸습니다. 배경부터 큰 틀에서 다시 한 번 짚어주시죠.
[기자]
요즘처럼 사람들이 기준금리에 많은 관심을 갖는 건 저는 처음 본 것 같아요.
특히나 미국의 기준금리를요.
[기자]
맞습니다. 그만큼 우리나라나 미국이나 기준금리가 아주 빠르게 올랐다고 볼 수 있겠는데요. 그러면 얼마나 빨리 올랐냐. 올해 초에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연 1%였거든요. 그게 지금 연 3.25%가 됐습니다. 그러니까 1년 만에 2.25%포인트나 아주 빠르게 올랐어요. 그 가운데 두 번은 전례가 없었던 이른바 빅스텝이기도 했고요. 그러면 왜 이렇게 빨리 올랐냐. 조금 전에 내용이 나왔죠. 아무래도 첫 번째 가장 큰 이유는 역시 소비자물가상승률로 봐야 될 것 같습니다. 통계청에서 자료가 나왔는데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년 동안 5.1%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게 얼마나 높게 오른 거냐. 지난 1998년, 그러니까 외환위기 당시죠. 이 이후로 24년 만에 가장 높은 오름폭이었습니다. 그리고 물가에서 가장 변동폭이 큰 건 아무래도 농산물, 그리고 에너지 가격 같은 것인데요. 이런 것들을 빼고 계산한 것을 근원물가라고 합니다. 근원물가도 4.1%, 이게 금융위기 이후에 가장 높은 수준이었어요. 이렇게 물가가 치솟으니까 이거를 억제하기 위해서 기준금리를 빠르게 올린 측면이 첫 번째 이유라고 볼 수 있겠고요.
역시 두 번째 이유는 미국을 이야기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워낙 우리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올리기 때문에 우리도 따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거든요. 미국이 빠르게 올렸을 때 우리나라 금융시장이 굉장히 흔들리는 모습도 보여주기도 ... (중략)
YTN 조태현 (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21230163225550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