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함형건 앵커
■ 출연 : 두진호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24]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우크라이나 남부에 위치한 카호우카 댐 파손을 두고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서로를 배후로 지목하며 진실 공방을 얼이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 두진호 한국국방연구원안보전략연구센터 연구위원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우크라이나 전쟁 벌써 1년 4개월째인데. 끝이 안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4일과 5일을 전후해서 새로운 국면으로 들어가고 있는 건데. 현지 시각으로 6일이죠. 어제 댐이 파손됐습니다. 카호우카 댐이 파손되면서 과연 누구의 소행인지 진실공방을 벌이고 있는데. 일단 그 얘기를 하기에 앞서서 카호우카 댐이 어떤 댐인지 설명을 부탁드리겠습니다.
[두진호]
카호우카 댐에 대해서 먼저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 댐은 지난 1946년이죠. 제2차 세계대전이 종료되고 난 이후에 스탈린 집권 시기에 전후 재건이라든지 가뭄에 대비한 목적으로 건설 필요성이 제기돼서 1950년부터 1955년까지 약 햇수로 6년여에 걸쳐서 현재 헤르손 주에 건축한 수력발전소가 되겠습니다. 높이는 30m 정도가 되고요. 전체 폭은 3.2km 정도가 되겠습니다. 1950년부터 공사 착공했는데. 당시 약 1만 2000명 정도의 노동인력이 투입되었고 1000대 이상의 차량이 동원된 그야말로 2차 세계대전 이후에 구소련이 했던 여러 가지 전후 재건사업 중에 큰 의미 있는 그런 사업이 되겠습니다.
개전 초기부터 러시아는 카호우카 댐을 조기에 주의악했습니다. 그 이후는 2014년에 러시아군이 크림을 군사적으로 병합하고 나서 당시에 우크라이나 당국은 크림반도로 유입되는 담수를 통제하기 위해서 댐을 구축했었고. 러시아군은 작년 개전 초기에 바로 카호우카 수력발전소를 조기에 점령함으로써 북크림채널을 통해서 그동안 크림지역으로 들어가지 못했던 담수를 통과시키는 그런 작전을 펼쳤던 것입니다. 카호우카 댐은 그 자체로 고가치 표적이고 또 전력을 생산하기 때문에 러시아 입장에서는 개전 초기에 반드시 확보해야 될 표적이 됐던 거죠. 왜냐하면 수력발전소를 통해서 공급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들이 우크라이나 군에 의해서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하...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4_20230607194702516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