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경 이후의 한국배구는?…"유소년 육성부터"
[앵커]
'우물안 개구리'로 전락한 한국 남녀 배구에 대한 경고등이 켜진 건 오랩니다.
배구계에서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모여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했는데요.
어떤 이야기들이 나왔을까요.
김장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항저우아시안게임에서 역대 두 번째 노메달 수모를 당한 남녀배구. 내년 파리올림픽 본선에도 초대받지 못했습니다.
김연경 등 도쿄올림픽 4강 신화를 거둔 고참 세대와 작별하고 세대교체를 단행했지만 현재까지 '실패'로 규정되고 있는데다 이렇다할 대안도 없습니다.
배구계 각계각층에서 한 목소리로 강조한 건 유소년 선수 육성이었습니다.
축구와 야구 등 인기 종목과 달리 배구의 경우 유소년 선수층이 얇아지고, 프로에 갈 선수 자원이 줄며 실업팀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입니다.
최근 신인 드래프트에서 역대 최저 지명률 47.6%을 기록한 것도 선수 자원 감소에 따른 선수들의 경기력 저하와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입니다.
두터운 유소년 선수층과 체계적 지원을 바탕으로 성인 무대에서 눈에 띄는 실력 향상을 이뤄낸 일본의 사례를 눈여겨볼만하다는 목소립니다.
"유소년부터 리그, 국가대표팀 운영 방법까지 모든 면에서 한번에 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외국인 선수 영입에 그치지 않고 국제 흐름을 읽는 심판과 지도자를 함께 키워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현대 배구는 분석의 배구이고 데이터의 배구를 하고 있는데, 데이터를 바로바로 분석을 해서 노트북이나 태블릿을 들고 매 랠리마다 데이터를 분석해가면서 선수들에게 지시를 하는…"
배구협회는 내년 4월까지 국가대표 새 감독 선임을 마치고 대표팀 훈련을 본격화 할 계획인데, 사령탑 교체로 분위기 전환을 꾀할 수 있으리란 기대감은 낮은 상황입니다.
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
(
[email protected])
#한국배구 #국제경쟁력 #유소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