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민생토론회를 열어 의대 정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했지만, 관심이 집중된 확대 규모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다만, 11년 뒤 부족한 의사 수가 만5천 명이라고 밝혀 큰 폭의 증원이 불가피함을 강조했습니다.
조용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의료분야 민생토론회에서 관심을 끌었던 건 단연 의대 증원 규모였습니다.
정부와 의료단체의 줄다리기 속에 해를 넘기면서 민생토론회에서 발표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지만, 이번에도 정확한 숫자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다만 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한 핵심 대책이 의료인력 확충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윤석열 / 대통령 : 고령 인구가 급증하고 있고 보건산업의 수요도 크게 늘고 있습니다. 또 지역의료·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해서도 의료인력의 확충이 필수적입니다.]
정부는 오는 2035년에 부족한 의사 수가 만5천 명에 달할 것이라며 대규모 증원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10년 뒤 의사로 배출돼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단순 계산해도 당장 '네자릿수' 이상은 증원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임상 역량을 강화하는 등 의대 교육의 질을 높이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또, 36시간 연속근무 등 살인적 근무 논란을 빚어온 전공의들의 수련 환경 개선도 약속했습니다.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의사들을 달래기 위해서는 보험·공제 가입을 전제로 의료사고에 대한 형사처벌 특례 적용을 약속했습니다.
정부는 대통령 직속으로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구성해 관련 정책들을 신속하게 추진한다는 계획입니다.
YTN 조용성입니다.
영상편집: 고창영
촬영기자: 김태운·이규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40201135603590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