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른바 '송민순 회고록' 논란과 관련해 지난 2007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기권 시기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여당은 노 전 대통령이 북한의 의견이 담긴 쪽지를 받은 뒤인 11월 20일에 결정을 내렸다고 하는 반면, 문 전 대표 측은 그전인 11월 16일에 이미 결정을 했다는 주장입니다.
강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2007년 청와대가 북한인권결의안 기권 결정을 내리기 전 북한과 상의했는지 여부를 둘러싼 쟁점 가운데 하나는 정부의 기권 결정 시기입니다.
새누리당은 송민순 전 장관의 회고록을 인용해 청와대가 2007년 11월 16일 결론을 내려고 했지만 주무부서인 외교부에서 반대했고, 좀 더 검토하는 과정에서 11월 20일 싱가포르를 방문 중이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이 북한의 의견이 담긴 쪽지를 확인한 뒤에야 최종적으로 기권 결정을 내렸다고 주장했습니다.
[심윤조 / 새누리당 전 의원 : 주무부처인 외교부에서 계속 반대하기 때문에 좀 더 검토하는 과정에서 북한의 입장을 알아보고….]
하지만 문재인 전 대표 측은 11월 15일 안보정책조정회의 참석자 대부분이 기권을 주장해, 정부의 기권 입장은 다음 날인 16일에 이미 결정됐다고 주장했습니다.
노 전 대통령이 16일 직접 회의를 주재해 기권 방침을 내렸다는 겁니다.
다만, 송 전 장관이 계속 찬성을 고집하는 데다, 당시 남북대화가 진행 중이었던 점을 감안해 내부 논의를 더 거쳐 북에 사후통보만 했다고 밝혔습니다.
[김경수 / 더불어민주당 의원 (YTN 라디오 출연 中) : 직접 UN에서 표결해야 할 외교부 장관이 편지도 다시 올리고 하면서 찬성으로 가야 한다고 계속 주장을 하니까 (발표를 늦춘 거죠.)]
이처럼 북 인권결의안 기권 시기를 둘러싼 여야의 입장 차가 뚜렷해 지고 있는 가운데, 송 전 장관은 북한에 의견을 구한 뒤 기권했다는 회고록 내용은 사실이라고 거듭 밝힌 뒤, 새누리당의 국정조사 언급에 대해선 과거를 뒤집는 데 초점을 두기 보다는 지금의 대북 정책을 되돌아보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YTN 강희경[
[email protected]]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1_20161018183600999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